컴퓨터 프로그래밍 공부/네트워크 서버 13

쓰레드 내부코드 보는 법

다음과 같은 join 코드의 내부 코드 보는 법 디버깅 돌려서 HelloThread() 함수에 중단점 찍기 중단점을 찍은 뒤 쓰레드를 주 스레드로 변경하면내부코드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스레드 설정을 바꿔가며 다른 스레드들은 뭘 하고 있는지 왔다갔다하며체크할 수 있다. Thread 클래스 5가지 함수 사실 Thread 클래스와 관련된 내용들은 사실 복잡하지 않다.Thread 클래스에서 5가지 핵심 함수를 알면,그 외에는 크게 신경 쓸 일은 없다.int main(){ // HelloThread(); std::thread t(HelloThread); cout std::thread hardware_concurrency(); - CPU 코어 개수멀티 코어 환경에서 실질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코어 개수가..

멀티쓰레드 개론

멀티쓰레드가 필요한 경우는 그림판과 같은 간단한 프로그램의 실행의 이유보다는몇천명이 로그인하여 동시에 접속을 하고,패킷을 보내고 게임 로직도 실행하고데이터비트 저장도 하는 정말 할 일이 많은 이러한 경우가 이유가 될 것이다. 그림판과 같은 단순 프로그램은 단일 스레드가 맡는 것이 되려 적합할 수 있지만,아까 말했던 대규모 접속 게임과 같은 경우에는단일 스레드로만 처리하기에는 하나의 스레드가 너무 많은 일을 담당해야 한다.따라서 멀티 스레드라는 개념이 적합하다. 각각의 여러 개의 스레드가 각 로직을 담당하여 동시에 로직을 실행하는 것이다.그렇다고 해서 스레드를 여러 개 배치했다고 해서 항상 성능이 좋아지는 것은 아니다.앞서 말했다 싶이, 간단한 프로그램과 같은 경우에는오히려 스레드가 놀게 되어 성능이 저하..

IP(Internet Protocol) IPv4

IPv4 프레임의 데이터 필드에는 상위 계층에서 전달받거나상위 계층으로 전달해야 할 내용이 명시된다.따라서 IPv4 패킷은 프레임의 페이로드로 데이터 필드에 명시된다. IPv4 패킷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띈다. 1. 식별자 2. 플래그 3. 단편화 오프셋 4. TTL 5. 프로토콜 6. 송신지 IP 주소 7. 수신지 IP 주소 총 7개이다. 들어가기 앞서, 패킷이란?패킷(Packet)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으로,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다. 1. 식별자 식별자는 패킷에 할당된 번호이다.만일 메시지 전송 과정에서IPv4 패킷이 여러 조각으로 쪼개져서 전송되었다면,수신지에는 이들을 재조합해야 한다. 이때 잘게 쪼개져서 수신지에 도착한 IPv4 패킷들이 어떤 메시지에서쪼개졌..

IP(Internet Protocol) 열기

으래 컴퓨터를 어려서부터 접한 세대이고,초딩 때 크아나, 바람의 시대 혹은 롤에서 키보드 배틀 좀 떠봤다 싶은 독자들이라면,나보다 나이 좀 많아 보이는 형아들이 너 IP따서 디도스 공격한다.라는 으름장에 맘을 졸여본 적이 있을 것이다.그렇다. 사실 필자의 얘기다. 필자는 막연하게 IP가 뭐냐고 형제에게 물어봤다.필자의 형제는 간단하게 말해서IP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가상의 주소라고 답해줬다.우리집에도 주소가 있듯, 컴퓨터에도 주소가 있다는 개념을 그 때 처음 알았다. 초딩 때 나를 발발 떨게했던 IP주소 딴다의 말의IP의 풀네임을 수십년이 흐른 지금에야 알게 되었다.인터넷 프로토콜 (Internet Protocaol)이다. 인터넷 프로토콜 네트워크 계층의 가장 핵심적인 프로토콜 하나를 꼽자면 단연 인터..

LAN을 넘어서는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

LAN을 넘어서는 네트워크 계층 여태껏 포스팅한 네트워크의 범위는 일반적으로 LAN에 한정되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LAN을 넘어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이 필수입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IP 주소를 이용해 송수신지 대상을 지정하고, 다른 네트워크에 이르는 경로를 결정하는 라우팅을 통해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한다. LAN을 넘어 다른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계층IP 주소를 통한 송수신지 대상을 지정라우팅을 통한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 데이터 링크 계층의 한계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만으로 LAN을 넘어서 통신하기 어려운 두 가지 이유 1. 다른 네트워크까지의 도달 경로를 파악하기 어려움 2. 모든 네트워크에 속한 모든 호스트의 위치를 특정하기 어려움 1. 물리 ..

스위치와 VLAN

전 포스팅 허브 요약  허브는 주소 개념이 없는 물리 계층 장비이다.전달바은 신호를 다른 모든 포트로 보내기만 할 뿐이다.그리고 반이중 모드로 통신하므로 허브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가 충돌이 발생할 범위,즉 콜리전 도메인에 속한다.  CSMA/CD를 통해 충돌 문제를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지만,사실 이보다 더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있다.전달밥은 신호를 수신지 호스트가 연결된 포트로만 보내고,전이중 모드로 통신하면 된다. 그러면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누어지기에 충돌 위험이 감소할 것이다.CSMA/CD를 이용할 필요도 없어진다.이러한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장비가 바로 데이터 링크 계층의 스위치이다.  스위치란? 즉, 스위치란스위치란 데이터 링크 계층의 네트워크 장비이다.2계층에서 사용한다 하여 L2..

허브

허브란?허브는 물리 계층 장비이다. 통신 매체를 통해 송수신되는 메시지는 다른 호스트에게 전달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 장비를 거칠 수 있다.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로 물리 계층에는 허브가 있고, 데이터 링크 계층에는 스위치가 있다. 먼저 물리 계층에서 여러 대의 호스트를 연결하는 허브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와 관련해 허브의 동작 방식인 반이중 모드 통신에 대해 알아보겠다. 아울러 이와 반대되는 개념인 전이중 모드 통신도 함께 학습해보자. 허브에서 발생하는 충돌이라는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CSMA/CD도 학습해보자. 데이터 링크 계층에는 NIC와 스위치가 있다. 스위치는 전이중 통신과 VLAN이란 특징을 가진다. 물리 계층에는 트위스티드 페어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허브 허브는 반이중 통신, CSMA..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 - 이더넷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통신이 이루어지는가장 근원적인 지점이다.하드웨어가 네트워크를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고이해하는 방식은 대부분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에 구현되어 있다.이더넷- 데이터 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을 아우르는 기술인 이더넷 물리 계층과 데이터 링크 계층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오늘날의 두 계층은 이더넷이라는 공통된 기술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더넷은 현대 LAN, 특히 유선 LAN 환경에서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다.예를 들어서 두 대의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해보겠다.이 컴퓨터끼리 정보를 주고받으려면 가장 먼저 케이블과 같은 통신 매체가 필요하다.그리고 그 통신 매체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이더넷은 다양한 통신 매체의 규격들과 송수신되는 ..